접근통제 (Access Control)
  • 비인가된 사용자의 정보자원 사용의 방지뿐만 아니라 인가된 사용자가 비인가된 방식으로 정보자산을 접근하는 행위 방지
  • 인가된 사용자가 정보 자산을 실수 혹은 의도적으로 잘못 접근하여 정보 자산 훼손하는 행위 방지
  • 주체(사람, 시스템)등이 접근 대상이 되는 객체에 접근할 때, 보안상의 위협, 변조 등과 같은 위험으로부터 객체와 제반 환경을 보호하기 위한 보안대책

 

단계 설명 접근매체
식별 본인이 누구라는 것을 시스템에 밝힘
인증 서비스에 스스로를 확인시키기 위해 정보를 공급하는 주체의 활동
책임 추적성 분석에 중요한 자료가 됨
사용자명
계정번호
메모리카드
인증 주체의 신원을 검증하기 위한 사용 증명 활동
본인임을 주장하는 사용자가 그 본인이 맞다고 시스템이 인정해 주는 것
패스워드, PIN
토큰, 스마트카드
생체인증(지문 등)
인가 인증된 주체에게 접근을 허용하고 특정 업무를 수행할 권리를 부여하는 과정 접근제어목록(ACL)
보안등급

 

접근통제 요구사항
  • 입력의 신뢰성(Input Reliability) : 입력되는 사용자 정보를 신뢰할 수 있어야 함.
  • 최소권한부여(Least Priviliege) : 최소한의 자원과 접근권한 부여
  • 직무 분리(Separation of Duty) : 시스템의 기능의 단계를 다수의 개인들에게 나눔
  • 정책 결합과 충돌 해결(Policy Combination and Conflict Resolution)
  • 개방적 정책과 폐쇠적 정책(Open And Closed Policies)
  • 관리 정책(Administrative Policies)

+ Recent posts